스마트팜17 수경재배의 방식 1. 배지 유무에 따른 수경재배의 분류 1) 배지가 없는 방식 - 비고형 배지경(순수수경)고체 형태의 배지 없이 키우는 방식이다.순수 수경에서는 뿌리가 양액에 직접 닿기 때문에 식물이 양액의 조건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배지가 없기 때문에 배지의 준비와 사용 후의 처리등에 대한 수고가 필요 없다.순수 수경 방식에는 담액 순환식 수경, 박막 수경, 분무경, 모관 수경 등이 있다. 2) 배지가 있는 방식 - 고형 배기경고체 상태의 배지에서 식물이 자라고 양액은 배지에 스며들게 해서 키우는 방식이다.배지는 크게 무기물 배지와 유기물 배지로 나눈다.무기물 배지 : 챙팡 질석, 펄라이트 암면, 폴리우레탄, 난석 등유기물 배지 : 피트모스, 코이어, 황겨, 훈탄 등 2. 급액 방식에 따른 분류양액을 공급하는 방식.. 2025. 4. 17. 식물은 어떻게 살고 자라나는가? 세포 안의 엽록체 녹색식물은 세포 안의 엽록체에서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광합성을 하고 광합성 작용으로 생성된 산물을 생체 에너지의 연료로 사용한다.엽록소a(파란색 선)와 엽록소b(빨간색 선)의 흡수 스펙트럼 빛의 파장 사용대체로 파장이 450nm인 파란색과 650nm인 빨간색에서 많은 빛을 흡수한다.녹색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반사하거나 투과하기 때문에 잎의 색깔이 녹색을 뜨는 것이다.광합성은 식물의 잎에서 일어나는데 잎의 단면을 보았을 때 앞면은 책상조직이 발달해 있고, 뒷면은 해면조직이 발달해 있다.대부분의 식물은 잎의 앞면에 있는 색상조직이 햇빛을 많이 받는 곳이므로 광합성을 위해 엽록체의 밀도가 높다.파와 같은 잎이 기둥 모양인 식물은 잎의 앞뒤가 따로 없어 단면을 봐도 책상조직과 해면조직의 구분.. 2025. 4. 17. 스마트팜 도입 절차 스마트팜 중에서도 실내농장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어떤 절차과 준비가 필요한지 알아보자.핵심은 경제성 확보이다. 어떤 방식으로 생산을 하든 생산되는 최종 생산품은 농산물이다. 그래서 도입 시 가장 좋은 절차는 실내농장으로 생산할 농산물을 판매할 유통판로를 만들어 놓고 실내농장을 도입하는 것이다.만약 그렇지 못한 상태로 시작하였다가 적절한 판로를 찾지 못할 경우 생산된 농산물을 제값을 받지 못하고 처리해야 할 수도 있다.농산물은 일반 공산품과는 성격이 다르며 차별화되는 상품적 특성이 존재한다.첫째, 상품으로 생산되면 시간과 비례하여 상품의 가치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농산물은 수확하는 시점부터 그 신선도는 떨어지며 신선도의 차이에 따라 상품의 가격이 달라지게 된다. 특별한 보관방법으로 신선도를 어느 정도 유지.. 2025. 4. 3. 스마트팜의 양액살균기술 양액살균기술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열처리법열교환기나 전기히터 등으로 가열하여 균이나 곰팡이 등이 살 수 없는 온도까지 높이는 기술이다. 균이 70도 이상에서 완전히 살균되기 때문에 살균효과나 매우 우수하고 양액의 비료성분에도 영향을 주지 않아 가장 우수한 방법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문제는 정상적인 온도의 양액의 살균을 위해 70도 이상으로 가열한 후 다시 온도를 내려 순환해야 하여 에너지 비용이 많이 들어 경제성의 좋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자외선처리법자외선은 100~400nm의 파장을 가지는 전자파이다. 생물에 대한 작용 정도는 파장에 따라 다르나 200~280nm 범위의 자외선은 살균효과가 매우 강력하다. 미생물에게는 돌연변이나 살균 등 치사에 이르게 할 정도의 효과를 발휘하며 이러한 자외.. 2025. 3. 30. 스마트팜 수경재배를 위한 양액 기술 양액이란양액이란 식물이 성장하는 데 필요한 영양성부이 들어 있는 영양소 물을 말한다. 노지에서의 식물 성장을 위해서는 퇴비나 화학비료를 직접 뿌려서 사용해 왔다. 그러나 수경재배에서는 기존의 방식의 영양소 공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동일한 성분을 가지는 영양소를 물에 녹여 사용한다. 양액의 제조 양액의 제조에 기본이 되는 물은 강물, 하천수, 우물물, 지하수, 수도물, 빗물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실제 양액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은 여러 가지 조건이 맞는 물을 사용해야 하는데 가장 먼저 병원균의 함유가 없는 물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물속에 병원균이 내포되어 있거나 감염이 있는 물이라면 식물의 성장은커녕 치명적인 병해로 인해 농사를 망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그다음 중요한 요소가 바로 유기물이나 중금속.. 2025. 3. 29. 스마트팜 수경재배기술 소개 스마트팜을 운영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수경재배 기술들은 어떤 종류가 있고 무엇인지 알아보자.담액수경 방식 순수수경 중 뿌리가 배양액 속에 담겨져 있으며, 줄기는 화학적으로 불활성한 뭉치로 고정하여 식물을 지지하여 가꾸는 방법이며 가장 고전적 수경법이다.장점으로는 1. 양액의 온도만을 조절하여 근권 온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음 2. 양역의 농도, 조성, PH 등이 안정적이고 교정이 쉬움단점으로는 1. 수분 공급의 조절이 어려워 재배 중에 생육 조절이 어려움 2. 면적과 시설비가 많아 초기투자비용이 높음 3. 양액이 순환하므로 토양 전염균이 발생할 경우에는 만연되기 쉬움 4. 뿌리에 대한 산소공급이 적고 어려움 식물의 뿌리가 담긴 배양액의 깊이는 일반적으로 4~15㎝ 정도로.. 2025. 3. 29.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