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지 유무에 따른 수경재배의 분류
1) 배지가 없는 방식 - 비고형 배지경(순수수경)
고체 형태의 배지 없이 키우는 방식이다.
순수 수경에서는 뿌리가 양액에 직접 닿기 때문에 식물이 양액의 조건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배지가 없기 때문에 배지의 준비와 사용 후의 처리등에 대한 수고가 필요 없다.
순수 수경 방식에는 담액 순환식 수경, 박막 수경, 분무경, 모관 수경 등이 있다.
2) 배지가 있는 방식 - 고형 배기경
고체 상태의 배지에서 식물이 자라고 양액은 배지에 스며들게 해서 키우는 방식이다.
배지는 크게 무기물 배지와 유기물 배지로 나눈다.
무기물 배지 : 챙팡 질석, 펄라이트 암면, 폴리우레탄, 난석 등
유기물 배지 : 피트모스, 코이어, 황겨, 훈탄 등
2. 급액 방식에 따른 분류
양액을 공급하는 방식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으로 크게는 양액을 순환시키는 방식과 그렇지 않은 방식이 있다.
대체로 잎채소들은 양액에 산소가 적게 녹아 있어도 잘 자라는 편이다. 뿌리에 양분을 저장하는 식물은 뿌리에 산소가 많이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배지가 있는 방식이나 뿌리가 공기 중에 드러나 있는 방식이 좋다.
1) 양액이 호르지 않는 방식 - 정치법
양액이 흐르지 않으면 그만큼 양액에 녹아 있는 산소량은 적어지게 된다.
에어 펌프로 공기를 불어 넣어도 양액이 산소를 함유할 수 있는 한계가 있어서 산소가 적은 곳에서도 잘 자랄 수 있는 식물에게 적합하다.
잎채소, 물에 꽂아만 두어도 뿌리가 잘 나는 식물 등은 정치법이 적당하다.
정치법에는 DWC(deep water culutre), 저면급액법, 모관 수경 등이 있다.
2) 양액이 흐르는 방식 - 유동법
양액이 흐르려면 양액 수조아 펌프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담액 순환싯 수경, 박막 수경등이 있다.
'스마트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은 어떻게 살고 자라나는가? (0) | 2025.04.17 |
---|---|
스마트팜 도입 절차 (0) | 2025.04.03 |
스마트팜의 양액살균기술 (0) | 2025.03.30 |
스마트팜 수경재배를 위한 양액 기술 (0) | 2025.03.29 |
스마트팜 수경재배기술 소개 (0)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