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마트팜

흙을 대체하는 수경재배의 장점

by kakaMora 2025. 3. 25.

 

수경재배의 장점

스마트팜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수경재배에 대해 알아보자.
식물재배에 있어 땅의 흙을 대신할 다른 것을 사용할 경우 그에 따르는 장점과 단점이 존재할 것이다. 수경재배 시 단점으로는 흙에 포함되어 있는 유익한 미량의 요소나 미생물에 의한 도움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면 장점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자.

 

첫 번째

모든 오염으로부터 어느 정도 자유로움으로 인해 소비자가 다소 안심하고 깨끗하게 식물을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흙에는 식물에 유익한 미생물도 있지만 대장균과 같은 인간에게 유해한 미생물들도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오염으로 인한 인간에게로의 섭취나 위험은 언제나 존재하고 있다. 그에 비해 실내농장 내에서의 수경재배의 경우 외부와 차단되어 살균되고 영양성분이 포함된 물만 활용하여 식물을 재배하기 때문에 흙에서 키울 때 발생하는 오염으로부터 자유롭다고 할 수 있다. 균뿐만 아니라 다양한 중금속의 오염으로부터도 안전하다.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에서 자라난 식물의 경우 해당 오염원으로부터 식물 내부가 점점 축적하게 되는 것에 비해 수경재배의 경우 그렇지 않다.

 

두 번째

바로 생육이 빠르고 품질이 균일하다는 것이다. 노지의 흙에서 식물이 자랄 경우 흙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과 영양분을 흡수하여 성장한다. 그런데 흙에는 포함되어 있는 영양분과 수분의 양들이 모든 곳에 균일하고 동등하게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로인해 식물의 성장이 흙의 종류와 위치에 따라 발육 상태가 모두 제각각일 수 있다.

그러나 수경재배의 경우 영양성분을 물에 녹여 공급되기 때문에 식물의 성장단게별로 꼭 필용하고 알맞은 영양소를 시기적절하게 제공하여 모든 식물이 균일하고 빠르게 성장하여 우수한 품질의 상품으로 태어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경재배의 장점은 흙에서 키울 때보다 비료와 물의 양의 사용이 현저히 적다는 것이다. 물의 사용량에 대해 예를 들면, 수경재배는 식물이 흡수한 수분과 자연 증발되는 수분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 회수되고 살균작용을 거쳐 재활용되기 때문에 흙에서 사용되는 물의 양보다 훨씬 더 적은 양으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스마트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팜에서의 환경관리 2  (0) 2025.03.26
스마트팜에서의 환경관리 1  (0) 2025.03.26
태양을 대체할 수 있는 광원, 빛  (0) 2025.03.25
실내농장을 구성하는 핵심기술  (0) 2025.03.24
식물공장의 종류  (0) 2025.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