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광원
실내농장은 모든 것을 실내에서 구현해 내야 함에 따라 외부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모든 것을 실내에서도 가능하게 구현해 내야 한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 내외부의 차단을 통해 식물에게 또 하나의 별도 세상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내외부의 차단은 건축적 요소이다. 차단을 위해서는 지하공간, 유리온실, 컨테이너 등 다양한 공간으로 구성할 수 있다.
공간이 구성되었다면 그다음 중요한 요소는 바로 태양을 대신할 빛이다. 고압나트륨등, 형광등, LED 등 여러 가지 광원이 있지만 그 어떤 것도 태양을 대신할 빛은 존재하지 않는다. 실내에서 식물을 키운다는 것은 좁은 면적에서 노지의 큰 면적을 대신할 정도의 효율적 생산을 목표로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식물의 재배 과정을 적절한 수준에서 인간의 손이 필요 없을 정도로 자동화해야만 한다.
2. 수분과 양분
노지에서 식물이 자란다면 흙에서 수분과 양분을 흡수하고 태양의 빛을 통해 만들어진다. 실내농장은 흙 대신 다른 방법으로 양분을 공급해야 하는 선택을 해야 한다. 따라서 태양을 대신할 광원이 정해졌다면 식물에게 적절한 수분과 양분의 공급이 그 다음 주요한 요소이다. 흙을 대신해서 식물에게 적절한 수분과 양분을 공급하는 방법이 수경재배이다. 수경재배는 스마트팜이나 식물공장, 수직농장과 같은 용어들이 나타나기 전에 이미 존해하였던 기술이다. 스마트팜, 식물공장, 수직농장과 같은 첨단 개념은 갑자기 생긴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술들이 꾸준히 실험, 개발, 적용, 활용되면서 특정한 모델이 나타나면 스마트팜이나 식물공장, 수직공장과 같은 용어가 추가되어 덪붙여진 것이다.
3. 환경
식물재배를 위한 내외부 차단을 통해 태양을 대체할 빛을 준비하고 흙을 대신할 수경재배가 준비되었다면 그 다음 중요한 것은 바로 환경이다. 식물이 성장하는 데 필요한 최적의 날씨를 만들어주는 환경관리가 중요하다. 환경관리는 외부와 차단된 공간의 구조와 태양을 대신하는 빛과 이를 대신하는 수경재배를 모두 고려하여 대표적으로 온도와 습도를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각각의 모든 식물은 성장, 발육 시 자신들에게 맞는 최적의 온도와 습도가 있다. 이 온습도를 재배하는 작물에 맞게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식물을 건강하고 빠르게 자라게 하는 요인이 되며 그로인하여 생산량도 늘일 수있다.
'스마트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흙을 대체하는 수경재배의 장점 (0) | 2025.03.25 |
---|---|
태양을 대체할 수 있는 광원, 빛 (0) | 2025.03.25 |
식물공장의 종류 (0) | 2025.03.24 |
식물공장? 스마트팜? (0) | 2025.03.24 |
스마트팜에 대한 농업의 현실과 미래 (0)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