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도관리
습도는 공기 중에 건조하고 습한 정도를 말하며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이야기하는 습도는 상대습도를 말하는 것으로 현재 기온의 포화 수증기량에 대한 실제 수증기량의 비율을 말한다. 즉, 공기 중에 기체 사애의 물이나 수증가가 얼마만큼 포함되어 있는 지를 표현하는 것으로 현재 공기의 온도가 포함할 수 있는 최대 수증기량을 100% 로 가정하였을 때, 현재 공기 중 포함된 수증기량이 몇 % 포함된 것인지를 나타낸다.
습도는 식물의 팽압과 증산에 영향을 주는 항목으로 양분과 수분의 흡수와 전지, 광합성 속도 영향을 끼친다. 식물 생장에 알맞은 상대습도는 식물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보통 50~80%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상대습도가 낮아질 경우 수분 증발이 촉진되어 식물 내 수분 함량이 떨어지며 그에 따라 잎의 기공 열림이 적어지고 수분 증발을 스스로 억제하게 된다. 광합성 속도도 물론 떨어지게 된다.
공기 중 습도 제어는 식물의 성장뿐만 아니라 병충해의 발생에도 영향을 준다. 고습과 저습 시 발생하는 병의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여 습도의 제어는 식물의 병 예방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습도가 낮으면 가습이 필요하고 습도가 높을 경우 온도를 높여 상대습도를 낮춰 주는 제어 장치가 필요하다.
주간에서 야간으로 시간이 변경될 때 온도가 낮아지면 상대습도가 높아짐으로 제습이 필요하다. 잎 주면에 상대습도가 낮아지면 이슬점 온도의 폭이 증가하게 되어 건조하게 되며 습성 균에 기인하는 병에 대한 위험도가 낮아진다.
팽압
세포 내부에서 세포막을 세보벽으로 밀어내면서 가해지는 압력을 말한다.
팽압은 물에 의해 발생하며 식물, 균루, 세균 및 원생생물 등 세포벽이 있는 모든 세포에서 발생하는 정수압력이다.
증산
뿌리에서 흡수된 물이 잎의 기공을 통해 증발하는 것을 말한다. 증산은 식물의 체온, 식물 삼투압, 미소 원소 및 물의 체내 흐름에 주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기공을 통한 수분의 손실이라는 결과를 가져오는 증산은 광합성을 위한 이산화탄소의 체내 흡수를 위한 대가이다.
이슬점온도
일정한 기압 아래에서 실제 수증기량의 증가 없이 공기의 온도가 내려가서 공기가 포함할 수 있는 최대치의 수증기량이 줄어들어 상대습도가 100%가 되고 수증기가 액체 상태의 물이 되는 온도를 말한다.
'스마트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지경 방식의 종류 (0) | 2025.03.28 |
---|---|
스마트팜 수경재배 기술 (0) | 2025.03.27 |
스마트팜에서의 환경관리 2 (0) | 2025.03.26 |
스마트팜에서의 환경관리 1 (0) | 2025.03.26 |
흙을 대체하는 수경재배의 장점 (0)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