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마트팜

스마트팜 수경재배 기술

by kakaMora 2025. 3. 27.

스마트팜

 

수경재배란?

토양을 사용하지 않고 고형배지나 물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고 생산하는 일종의 과학적 농업기술로 작물의 생육에 요구되는 양분을 습수 비율에 따라 적정 농도로 용해시킨 배양액을 인위적으로 공급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기술을 말한다.

고형배지는 암면, 펄라이트, 자갈, 모래, 버미큐라이트, 톱밥 등 양향성분이 많이 없는 것으로 고체형태의 모양으로 만든 것이다. 이 고형배지를 이용하여 재배하는 것을 고형 배지경 혹은 무토양재배라고 한다. 고형배지를 사용하지 않고 순수하게 물만을 사용하여 재배하는 것을 비고형 배지경 혹은 순수 수경재배라고 한다. 

수경배재를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조건과 기술이 필요한데 고형배지의 경우 다음과 같은 조건들이 필수적으로 충족되어야 한다.

 

좋은 고형배지의 조건

무균, 무영양 상태인 것이어야 한다. 수경재배에 있어서 식물성장에 필요한 영양성분을 정밀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배지에 영양성분이 들어 있는 경우 양액의 양 조절 및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무균, 무영양 상태가 관리가 수월하다.

동질 재로의 구매의 수월한 것이어야 한다.지속적인 배지를 확보할 수 있어야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함으로 팜에 적용하고 있는 동일한 배지를 꾸준히 확보하여 변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재현성과 내구성이 좋고 수회 사용이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이화학성이 안정되어 배양액 조성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가볍고 조작이 편하고 쉬워야 한다.

구매 비용이 적게 들어 경제적 부담이 크지 않아야 한다.

사용 후 폐기 과정이 쉬워야 하고 환경오염 걱정이 없는 것이어야 한다.

 

비고형 배지경은 다음과 같이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담액 식수경

이게 바로 우리가 흔힌 알고 있는 수경재배 방식이다.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성분을 포함한 물이 식물의 뿌리가 잠길 정도로 충분히 담궈 재배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식물의 뿌리가 산소와 접촉하는 시간이 적으므로 물속에 산소를 불어 넣어 주기 위한 방법이 추가되어야 하고 순환식, 통기식, 액면 상하식, 모관식 등으로 방법이 더 세분화 될 수 있다.

 

박막 수경

식물에 필요한 영양성분을 가지고 있는 양액을 식물 뿌리가 퍼져 있는 곳에 얇고 간헐적으로 흐르도록 하여 식물의 뿌리가 공기와 접촉하는 시간을 많도록 하는 재배방식이다.

 

분무경

양액을 스프링쿨러의 형태와 유사한 노즐을 이용하여 미세한 입자로 식물의 뿌리에 직접 분사하여 재배하는 방식이다.

 

'스마트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팜 수경재배기술 소개  (0) 2025.03.29
배지경 방식의 종류  (0) 2025.03.28
스마트팜에서의 습도관리  (0) 2025.03.27
스마트팜에서의 환경관리 2  (0) 2025.03.26
스마트팜에서의 환경관리 1  (0) 2025.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