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그플레이션
애그플레이션이라는 용어를 들어본 적이 있는가?
애그플레이션이라는 용어가 농산물 가격 폭등 기사와 함께 자주 언급되고 있다.
애그플레이션이란 농업을 뜻하는 애그리컬쳐와 물가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을 합성한 신조어이다.
이는 곡식의 가격 상승으로 인한 일반 사회 물가가 함께 상승하는 현상을 이르는 용어이다
1845년 이후 식품 가격 변동추이를 조사한 '이코노미스트'의 조사에 의하면 2006년 하반기부터 식품 가격이 급등하기 시작했고 2007년 세계 식품 가격지수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는 분석을 내놓으면서 애그플레이션이라는 용어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애그플레이션에 대한 분석된 자료
애그플레이션에 대한 여러가지 분석된 자료의 의하면 곡물 가격의 급격한 상승 요인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고 한다.
지구 온난화, 기상이변, 급격한 사회의 발달, 육류 소비 증가에 따른 사료용 곡물 수요 증가, 경작지 감소, 유가 급등에 따른 생산과 유통 비용 증가, 곡물을 이용한 대체연료의 활성화, 식량 자원화, 투기자본의 유입 등이다.
곡물 가격 상승이 사회 전반의 물가 상승으로 확산되어 경제 위기를 초래할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특히 곡물 자급률이 낮은 국가의 경우 그 위험성이 자급자족이 가능한 국가 대비 훨씬 위험한 수준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이런 우려는 최근 현실화 되고 있으며 국가간 경제와 권력을 다투는 무기가 되고 있어 밀, 옥수수, 콩 등의 세계 곡물 가격이 급등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자국의 이익을 위해 곡물을 무기화하는 사례도 심심치 않게 뉴스와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어떠한가?
식량 자급률과 곡물 자급률을 보면 애그플레이션에서 자유롭지 않음을 알수 있음은 물론이며 위기의식을 가져야 할 시기이다. 그러나 우리의 농촌과 농업 현실은 우려와 반대로 점차 관심을 잃어가고 있으며 쇠퇴해져 가고 있다. 농촌의 고령화, 기상 이변의 증가, 농산물 수급의 불균형, 가격 폭등과 폭락, 도시와 농어촌 간의 소득과 문화의 격차로 인하여 상황은 점점 더 어려워져가고만 있는 게 현실이다.
이렇게 어려워지게 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노동투입량에 비례한 소득 수입이 따라오지 않는 것이다.
이런 현실을 해결할 수 있는 것 가장 좋은 방법과 기술이 바로 농업의 자동화, 즉 우리가 요즘 많이 이야기하는 스마트팜 기술이다. 우리나라는 기계, 통신, 정보기술 등 제조업 분야에서 세계 어느 나라와도 비교해도 우위에 설 수 있는 기술과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계, 통신, 정보기술 등을 제조 분야의 기술 농업에 최대한 적용한단면 우리 농업은 새로운 첨단융합 산업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그럼 앞으로 스마트팜을 위한 기술은 적용은 어떻게 하며, 이를 통해 우리의 삶은 어떻게 변화될 것인지 좀 더 알아보자.
'스마트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흙을 대체하는 수경재배의 장점 (0) | 2025.03.25 |
---|---|
태양을 대체할 수 있는 광원, 빛 (0) | 2025.03.25 |
실내농장을 구성하는 핵심기술 (0) | 2025.03.24 |
식물공장의 종류 (0) | 2025.03.24 |
식물공장? 스마트팜?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