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의 중요성
몇 년 전, 투자의 귀재이자 로저스 홀딩스 회장인 짐 로저스는 농업분야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했다. 그는 농업 부분이야 말고 앞으로 가장 투자하기 유망한 직군 중 하나라고 말했다.
선진국의 농업은 인구 증가와 공해, 이상 기후 등으로 식량 수급의 불안정,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공포감을 첨단 기계기술, 정보기술, 바이오기술 등의 융합을 통해 해결하려고 하고 있다. 식물농장은 이러한 다양한 기술을 적용하기 가장 좋은 사레 중 하나이다.
식물공장이란?
일본의 경우 식물공장이라는 곳에서 양상추, 배추와 같은 채소류가 많이 재배되기 시작하여 야채공장이라고 불리기도 했으며 미국에서는 빌딩농장, 타워팩토리라고 표기하기도 하였다.
그러면 식물공장은 어떻게 정의해야 하고 스마트팜과는 어떻게 다른 것인가?
식물공장이란 식물이 자라는 데 필요한 환경, 빛,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양분 등을 인공적으로 제어, 관리하여 외부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식물을 계획에 따라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생산시스템을 말한다.
식물공장은 형광등이나 LED를 통한 인공광 식물공장이며, 이와 같은 형광등이나 LED같은 인공광이 아닌 태양광을 이용하는 곳도 식물공장으로 포함시켜야 할지는 다른 이견도 일부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큰 기준으로 봤을 때 다음과 같이 식물공장을 정의할 수 있다.
첫째는 식물공장은 식물을 일 년 내내 안정적으로 계획 생산이 가능한 곳이어야 한다
둘째는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환경요소인 빛,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양분 등을 인공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곳이어야 한다.
셋째는 외부의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외부의 균이나 해충으로부터의 영향이 없어야 하며 차단되어야 한다.
이 세가지 조건이 만족한다면 형태가 어떻든 식물공장이라고 불러도 무방할 것이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와 북유럽의 경우 유리판으로 만들어진 유리온실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유리온실을 우리는 식물공장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그 이유는 바로 세 번째 조건에 있다. 내외부의 차단 정도가 어느 정도인가에 따라 식물공장으로 칭할 수 있을지의 여부가 갈릴 것이다. 식물농장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가 바로 외부와 완전히 밀폐되어 외부의 해충이나 균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아 농약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유리온실의 경우, 대부분 온도 조절과 환기를 위해 좌우측장과 천창을 개폐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식물공장으로서 가질 수 있는 가장 큰 장점을 살지지 못하고 있다.
식물공장 정의
마지막으로 식물공장을 다시 정의해 보자.
식물공장이란, 외부의 공기 중 필터를 통한 유익한 공기만 유입되도록 하며 외부의 차단이 높아 식물의 성장, 발육이 필요한 환경요소를 인공적으로 제어함하여 안정적인 계획 생산이 가능하도록 갖추어진 곳이다.
우리는 이런 식물공장의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스마트팜과는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도록 하자.
'스마트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흙을 대체하는 수경재배의 장점 (0) | 2025.03.25 |
---|---|
태양을 대체할 수 있는 광원, 빛 (0) | 2025.03.25 |
실내농장을 구성하는 핵심기술 (0) | 2025.03.24 |
식물공장의 종류 (0) | 2025.03.24 |
스마트팜에 대한 농업의 현실과 미래 (0) | 2025.03.23 |